퇴사 후 재취업이 너무 어렵게 느껴집니다. 어떻게 돌파구를 찾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퇴사 후 재취업의 벽에 가로막힌 32살 취준생입니다.
3월에 처음 지원서를 넣은 이후로 제로에 가까운 연락을 받아 불안, 초조한 상태로 지내고 있습니다.
쉽게 될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지만 이렇게 어려울 줄도 몰랐네요.
간단히 이력을 말씀드리고 제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학력은 의료공학과 학사-석사 졸업했구요. 글로벌 초음파기기 회사 한국 R&D 연구소에서 테스트 엔지니어로 1년 반 계약직 후, 단순초음파기기 회사에서 3년 반 정도 임상/마케팅 담당자로 근무했고 지난해 6월 퇴사했습니다.
임상, 교육, 마케팅, 전시기획 등을 담당하는 부서의 유일 직원으로써 다양한 분야를 접하고 익혔고,칭찬 받으면서 일했지만 서른이 넘어가니 한 분야를 잘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더라구요.
제가 그 전까지 겪어본 포지션 중 가장 다양한 분야와 교류하고 넓은 시각을 가져야 하는, 경력이 늘어도 정체 없이 배움이 많을 것 같은 임상 분야가 가장 흥미로웠고, 거기서 전문가가 되고 싶었습니다.
다양한 의약품과 의료기기, 소모품을 다루고 공부하고 싶어서 CRO가 희망 1순위였고, SSU CRA나 모니터요원 포지션으로 많은 회사에 지원했는데 서류 면접에서 족족 떨어져 갈 길을 잃었습니다.
재직 내내 F/U 업무는 끊이지 않아서 임상 경력이 많다고 착각했지만, 중소기업이었고 허가임상이 아닌 탐색/유용성 평가 연구였기 때문인지.. IIT 2건, SIT 2건 진행했음에도 모니터링 경험이 일천합니다. SIT도 비용 절감을 위해 병원 자체 임상협력센터와 협력하는 형태였기에 정규 모니터링은 연 1회 정도..? 교수님은 정말 자주 부르셔서 중간 분석을 요청하셨는데, CRA 전문 업무가 아니니까요. In house 업무는 반 정도, SSU 업무는 거의 제가 주로 진행했습니다.
영어는 OPIC IM2, TOEIC 800 후반대 정도이고, 경력 초반에 CRA 실무 관련 교육을 다녀서 16년도 교육 이수 이력은 있습니다. 제 CV 경력 기술 항목을 보시면 다양하지만 아주 전문적인 경험은 없구나.. 라고 생각하실 것 같구요.
제가 꼭 발전시켜야 하는 부분이 어디일까요.. 알려 주세요.
저는 무엇을 어느 단계까지 끌어올리면, 또는 어떤 길을 거치면 제가 원하는 길로 갈 수 있을지 깜깜하기만 합니다.
CRO 경력으로 입사하기엔 너무 무리인 이력인지요? 병원 임상시험센터나 제약회사에 임상팀 신입으로 들어가 차차 경력을 쌓는 길이 왕도일까요..? DM이나 다른 부서를 거쳐야 할까요..? 도움이 되는 관련 자격증이 있을까요..?
배움을 구합니다. 속상해서 말이 많았는데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음.. 올해 교육은 들으셨나요? 16년도 교육이수라고 말씀하셔서 혹시나 싶어 말씀드려요~
이력서에 GCP는 무조건 있어야해요~
의료기기 쪽 CRO알아보시면 좋을것같아요
답글 감사합니다ㅠㅠ 갱신이 필수인지요? KONECT도 그렇고 교육 신청 과정부터 기관 소속이 필요하더라구요ㅠㅠ제가 지금 쉬고 있어서 진즉 해결해야되는걸 못하고 있었습니다ㅠ
무소속이라고 기입하시고 그냥 들으시면 돼요. 해마다 교육을 받아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정도 경력이시면 서류합격은 충분하실 것 같은데, 교육 없는것 땜에 그러신가봐요... 코넷이나 돈이 많이 들더라도 유료교육 한번 듣고 지원해보세요....
네 유료교육도 들어보겠습니다 감사해요!!
저도 다른 선생님들과 같은 생각이에요. CRA로 일하고 싶으시면 의무교육을 듣고 이수증이 나온 상태에서 다시 도전해보세요. 그러면 합격으로 좀더 다가갈수 있을거에요. 임상시험종사자는 매년 교육을 들어야해요. CRA 경력이 없으시니 교육을 들어야 일을 할수 있거든요.
아 저는 쥐업 후에 소속된 상태로 갱신하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실무에 투입되기엔 교육부터 미리 들어 놓는게 훨씬 낫겠네요!! 감사드립니다
참고로 Konect에서 하는 온라인 무료교육(ppt)으로 하시면 도움되실거에요. 올해 초에는 있는걸 봤는데 지금도 온라인 무료교육이 있는지는 잘모르겠어요.
여긴 경남 김해 입니다. 혹시 임상시험모니터링(CRA)강의도 가능하신가요?
노동부 사업의 일환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려하는데 이 분야에 강사님을 구하기가 힘들어서
여기 저기 돌아다니다....실례를 무릎쓰고 한번 여쭈어 봅니다.
안녕하세요,
연락드릴 방법이 마땅치 않습니다. 저희 메일로 admin@clinicaltrialtools.com 연락을 주시거나 연락처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